본문 바로가기
Network

[Network#1]네트워크 기초

by laheee 2021. 5. 2.

네트워크란?

컴퓨터들을 연결하여 글들 간에 통신을 하여 정보를 교환하고,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

 

네트워크 크기에 따른 분류

LAN(Local Area Network) 소규모

MAN(Metropolitan Area Network) 중규모

WAN(Wide Area Network) 대규모

 

프로토콜(Protocol)

정보기기 사이/ 컴퓨터 끼리/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 등에서 정보 교환이 필요한 경우,

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정한 여러가지 통신규칙과 방법에 대한 약속 (통신규약)

 

 

 

네트워크 주소

- IP주소

네트워크상에서 특정 개체를 나타낼 수 있는 논리적 주소

IP주소 = 네트워크 + 호스트

192.168.0.1

- MAC주소

네트워크상에서 특정 개체를 나타내는 물리적 주소

MAC주소 = 제조사번호 + 특정번호

00:60:97:8F:4F:86

- ARP(Address Resolution Protocol)

IP주소를 MAC주소로 바꾸는 프로토콜

- RARP(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)

MAC주소를 IP주소로 바꾸는 프로토콜

 

 

 

네트워크 기본 구조

@ 스위치(허브)

네트워크 단위들을 연결하는 통신장비

스위치의 5가지 작업

- Learning : 테이블에 정보를 저장한다.

- Flooding : 모르는 정보를 모든 호스트에 뿌린다.

- Forwarding : 알고있는 목적지에 정보를 전달한다.

- Filtering : 다른 목적지로 넘어가지 못하게 한다.

- Aging : 오래된 정보를 지운다.

 

@ 라우터

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상의 경로를 지정하며,

해당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향시키는 장비

(가중치를 매기고 비교하여 최적의 경로를 지정)

- 라우터가 하는 일 : 최적의 경로 배정

 

 

 

논리적 네트워크

- 내부망

로컬 네트워크 개념으로 라우터나 방화벽 안쪽에 자리한 네트워크로 라우터를 넘어가지 않는 이상

내부에 있는 호스트끼리만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(송수신자가 동일한 네트워크 ID 사용)

- 외부망

라우터나 방화벽 넘어 밖에 위치한 네트워크로 외부 네트워크로 나감으로써 인터넷이 만들어짐

(송수신자가 서로 다른 네트워크 ID 사용)

 

 

 

네트워크 통신

유니캐스트

- 1:1 송수신

- 하나의 송신자가 하나의 수신자에게 트래픽을 전송

- forwarding 과 비슷

브로드캐스트

- 1:불특정 다수 송수신

- 하나의 송신자가 특정 다수에게 트래픽을 전송

- flooding 활용해서 트래픽 전송

멀티캐스트

- 1:특정 다수 송수신

 

 

 

DNS (Domain Name System)

-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하는 시스템

ex) KT의 DNS주소

168.126.63.1 <-> kns.kornet.net

terminal "nslookup" 명령어로 DNS 실습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REST API(RESTful)란?  (0) 2021.05.17
[Network#2]네트워크 기초  (0) 2021.05.02

댓글